연봉 7,500만원이 상한선이래요
오늘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돼요. 1차 소비쿠폰은 별도의 조건 없이 모든 국민에게 지급되었는데, 2차 소비쿠폰은 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10%를 제외하고, 하위 90%에게만 지급한다는 게 특징이에요. 가구의 유형에 따라 소득 기준이 조금씩 다르고, 형평성을 위해 일부는 자산 기준도 함께 적용돼요. 내가 대상인지 아닌지 헷갈린다면, 아래 정리한 조건으로 확인해보세요.
✅ 2차 소비쿠폰 소득 기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가구 소득 하위 90%를 대상으로 인당 10만원씩 지급해요. 소득 하위 90%를 판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아요. 2025년 6월 부과된 건강보험료의 본인부담금을 합산한 금액이 가구원수와 유형별 기준액 이하여야 지급 대상이에요.
연소득으로 환산하면 1인 가구는 세전 7,500만원, 외벌이 4인 가족은 1억 7,300만원이 기준이라고 해요.
✅ 자주 묻는 질문 정리했어요
Q. 소득이 적은데 자산이 많으면요? ‘고액자산가'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돼요. 고액자산가의 기준은 '재산세 과세표준'과 '금융소득'으로 판단해요. 가구원의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원을 초과하거나,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가구는 2차 소비쿠폰을 받을 수 없어요.
💰재산세 과세표준 12억원은 공시가격 약 26억원의 주택에 해당되고, 금융소득 2천만원은 연 2% 이자율을 가정할 경우 예금 10억원 수준이에요.
Q. 맞벌이 부부는 어떻게 계산해요? 가구 내에 돈을 버는 사람이 2명 이상인 경우, '다소득원 가구'로 인정받아요. 이 경우, '가구원 수 + 1명'의 건강보험료 기준액을 적용해서 지급 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외벌이 가구보다 기준이 좀 더 완화돼요.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와 자녀 2인으로 포함된 4인 가구라면, 4인이 아니라 5인 가구의 기준을 적용받아요.
👯소득원이 여러 명이면 각각의 건강보험료를 산정한 후 합산하는데, 그러면 같은 소득을 1명이 벌 때보다 건강보험료 합산액이 높아져요. 혼자 1억원을 버는 사람의 건강보험료보다 맞벌이로 각각 5천만원을 버는 2명의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이 더 커요. 그래서 다소득원 가구에는 형평성을 위해 좀 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거예요.
✅ 2차 소비쿠폰, 이렇게 신청하세요
2차 소비쿠폰은 9월 22일(월) 오전 9시부터 10월 31일(금) 오후 6시까지 신청할 수 있어요. 신청 첫 주(9월 22일~26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요일제가 적용돼요.
온라인으로는 카카오페이, 카드사, 지역사랑상품권 앱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오프라인은 읍·면·동 주민센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면 돼요.
카카오페이로 소비쿠폰 받으면 바코드, QR코드, 실물카드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할 수 있어요. 카카오페이 트래블로그 체크카드와 연동해서 쓸 수도 있고, 카드를 두고 나갔다면 스마트폰의 카카오페이앱으로 결제하면 되니 훨씬 편리해요!
2차 소비쿠폰 대상자 여부는 오늘부터 카카오페이를 비롯한 각 신청사이트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앱에서 조회할 수 있어요. 내가 지급 대상인지 아닌지 헷갈려하는 가족, 지인에게도 공유해주세요!